본문 바로가기

투자자 노트

아디다스 1위 ODM 업체에 도전하는 화승엔터프라이즈

화승엔터는 아디다스 신발 생산업체 중
2위(15%)를 차지하고 있다.

 

아디다스 내 점유율 추정(DB금융투자)

 

작년에는 3위인 대만의 칭루(10%)와
아디다스의 계약 종료로 인한
반사이익이 올해에도 반영될 전망이어서
올해 매출과 이익이 전년대비 증가할 전망이다.

 

실적 추이 및 전망

 

그런데 주가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올해 고점(18,800원) 대비 30% 넘게 하락
해 있다.
관심종목으로 두고 분석하기에 충분하다.

 

주가 차트(월봉)

 

가장 먼저! 코로나19 관련해서는
중국 생산법인이 1주일 가량 생산차질이 있었을 뿐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법인의 생산시설
도시와 다소 떨어진 곳으로
공장 가동률이 95%를 상회하는 등
코로나19로 인한 피해는 거의 없는 편이다.
(오케바리)

 

화승 홍보 동영상(2017년)

 

반면, 동사의 주요 거래처인 아디다스는
올해 1분기 매출이 47억 5,300만 유로(-19% yoy)
영업이익은 6,500만 유로(-93% yoy)를 기록
했다.
코로나로 인해 글로벌 매장의 70% 이상이
영업을 중단한데 따른 쇼크다.
그나마 e커머스 관련 매출이
전년동기대비 35% 증가하면서 최악은 면했다.

하지만...
2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대비 40% 가량 하락하면서
영업손실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
된다.
(흠.. 이건 좀 걱정이네..)

코로나19 이후로 아직까지
공식화된 주문 취소는 없는 것으로 파악되지만 
이미 아디다스의 실적은 영향을 받고 있으므로
보수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지 부스트 한정판

 

동사와 아디다스의 주가 차트를 보면
코로나19 이후에 동시에 조정을 받았다.

 

빨간색 화승엔터 / 검정색 아디다스

 

실적 추정치에 따르면
적정주가는 19,157원 정도로 추정되기 때문에
지금의 주가수준은 충분히 저평가 매력이 있다.
하지만 코로나19의 영향이 가시화되면
실적 추정치의 하향 조정도 불가피해 보인다.
결국 적정주가 수준의 하향 조정도 예상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를 할 생각이다.

 


 

주관적인 분석과 판단에 따라 작성한 글이므로

투자판단은 투자자 본인 스스로 하시길 바랍니다.
해당 내용은 필자의 합리적인 투자의사결정을 위해
관련 내용을 정리했을 뿐이지
다른 투자자분들께  투자권유를 위한 글이 아니며
따라서 투자 결과에 책임도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