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로나

(2)
중요한 변곡점에 온 코스피지수 안녕하세요. 이번주에 중요한 변곡점에 도달해 오랜만에 투자자 레터를 씁니다. 아래의 차트를 보시면 2018년 고점(2574pt)이후 2개의 추세선의 흐름을 볼 수 있습니다. 2008년 이후 2년간 코스피지수가 하락했던 이유는 두가지인데요. 바로 미국의 '출구전략(금리인상, 테이퍼링)'과 '미-중 무역분쟁' 때문이었습니다. 작년 말에 파란색 추세선을 뚫고 새로운 추세선(빨간색)을 형성했는데요. 이 시기에는 미-중 무역협상 1차 타결이 있었죠. 그러다가 코로나가 터졌습니다.ㅠㅠ 일단 과거는 저랬었는데... 그러면 현재는 어떠하며 미래는 어떠할지 말씀드리겠습니다. 현재는 코로나19의 글로벌 확산 이후 미국, 유럽, 중국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도 역대급으로 돈을 풀고 있습니다. 즉! 지금 당장 '출구전략' 걱정을 ..
코로나19, 개미들 또 털릴까 2020.01.30.목.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 선포 WHO가 1월 30일에 발표한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는 전염병의 위험을 경고하고 '차단'에 중점을 두는 선언이다. 반면 팬데믹 선언은 이미 세계적으로 확산돼 개별 국가의 치료와 억제 등 '관리'에 초점을 맞춘다. WHO가 지금까지 팬데믹을 선언한 경우는 1968년 홍콩 독감 사태와 2009년 6월 스페인 독감(H1N1) 등 두번 뿐이다. 1968년 홍콩 독감(H3N2) ▣ 홍콩 인구의 15%인 50만명이 감염 ▣ 6개월 간 베트남, 싱가폴, 인도, 필리핀, 오스트레일리아, 아프리카, 남미, 유럽으로 확산되면서 100만명 이상 사망 2009년 스페인 독감(H1N1) ▣ 1918~1919년에 5천만~1억명의 사망자 기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