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증시 마감 리뷰
시장의 변동성이 커졌다 싶더니 바로 내리 꽂아버리네요. 국내 코로나 확진자수 재확산과 미국 연준의 유동성에 대한 우려 언급이 트리거가 된 듯 합니다. 그래도 장 막판에는 외국인이 지수관리를 하는 듯 했고, 2~3월처럼 개폭락 장세가 나오지는 않을 거라는게 시장 전반적인 희망인 듯 합니다. 물론 지금까지 나온 내용만 보자면 말이죠.
수급 체크
하루 종일 내내 두들겨 패더니 외국인이 막판에 지수관리하는 모습이었습니다. 기관은 이때를 기회로 확인사살하는 모습이었구요. 오늘 밤 유럽과 미국 증시를 봐야겠지만, 금요일인 내일도 추가 하락 가능성을 열어두고 오늘 하락으로 저평가된 종목을 찾아 봐야겠네요.
특징주
오늘의 빅이벤트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SK하이닉스를 밀어내고 시가총액 2위를 차지한거죠! 시장이 불 붙었을 때 이랬다면 '쌈~바 쌈바 쌈바!' 노래 부르며 많은 사람들이 춤을 췄을텐데... 사실 얼마전 선수들끼리 내기를 했는데 다들 LG화학을 꼽았었는데 뭐 다 맞출수는 없으니깐요! 어느 누구도 축하해줄 분위기는 아닌 듯 하네요. 특히 SK하이닉스는 3분기 또는 연말까지도 힘들거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어서 시총 5위 밑으로 떨어지지 않을까라는 우려가...
글로벌 증시 마감
미국과 우리나라의 디커플링이 재현되는걸까요? 미국의 3대 지수는 모두 올랐지만 내막을 들어다보면 차별화가 뚜렷했던 하루였습니다. S&P500의 상승종목수는 152개, 하락종목수는 347개, 다우에선 11개 vs 18개, 나스닥에선 1020개 vs 1633개! 결국 3대 지수 모두 상승종목수보다는 하락종목수가 많았네요. 더불어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가 0.9% 하락해서 금요일인 오늘 우리나라 증시는 어제 하락분을 모두 만회하지는 못할 거 같은 우울함이...ㅠㅠ 어쩌면 코로나 확진자가 얼마나 또 증가했는지 등에 따라 하락할 가능성도 있다는게 더 걱정..ㅠㅠ
다시 돌아가서 미국 증시는 필라델피아 연준 경기전망과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가 부진하게 발표되면서 하락으로 시작을 했습니다.
미국과 기분 나쁜 디커플링이 나오는데, 그럼 미국의 코로나 확진자수 현황은 어떤지 볼까요! 7월에 급증하던 숫자가 조금씩 감소하고 있긴한데 아직 여유부릴때는 아닌가 같죠잉? 이 외에 프랑스와 스페인에서 다시 재확산이 되고 있는 듯 합니다. 곧 가을인데 언론에서 얘기했던대로 정말로 2차 팬데믹이 올지 유심히 지켜봐야겠어요~
글로벌 특징주
이날 미국 증시에서는 애플이 사상 최초로 시가총액 2조달러를 돌파했고, 테슬라는 천슬라라는 별명도 익숙해지기전에 주가가 2천달러를 넘어섰네요! 시가총액 2조달러는 국내 코스피+코스닥 시총 다 합친것보다 많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정말 대단합니다! 실리콘밸리로 가야겠어요!!
주요 증시 일정
금요일인 오늘은 한국 수출입동향이 발표됩니다. 8월 1일부터 20일까지 수치를 보여줄텐데요. 반도체와 자동차쪽이 어떻게 나올지 궁금하네요. 그리고 미국은 옵션만기일이 있어서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08.21.금.한국 수출입동향(8.1~20)
08.21.금.BTS 디지털 싱글 발매
08.21.금.미국 옵션만기일
08.24.월.미국 공화당 전당대회(~8.27.목)
08.27.목.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08.27.목.미국 2분기 경제성장률
08.27.목.미국 캔자스시티 잭슨홀 미팅(~8.28.금)
아래 내용은 투자 관련한 주요 뉴스를 요약 또는 코멘트를 남깁니다. 기사의 내용과는 다른 해석이 들어가기도 합니다. 언론사는 많은 이해관계자들이 있기 때문에 해석이 방향이 한쪽으로 치우치기도 합니다. 최대한 중립적인 입장에서 해석하도록 하겠습니다. 물론 저의 해석이 틀릴수도 있습니다. 댓글로 지성인의 힘을 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20년 2분기 실적 데이터 요약
올해 2분기 실적발표가 마감됐고, 정리한 자료가 있어서 올립니다. 주가는 실적에 수렴한다라는 전제를 깔면 코스피지수 흐름이 그렇게 좋을 것만 같지는 않죠?ㅠㅠ 다만 종목별로 또 살펴보면 실적이 엄청 좋았던 것들이 있으니 잘 찾아서 투자하시면 좋은 성과가 있을 겁니다.^^
북한, 김정은 위원장이 김여정 등에게 일부 권한 위임
이 내용과 관련해서는 환율을 보면 되는데 큰 변동성은 없었습니다. 즉 북한의 정권 체제에는 당장 큰 이상은 없다는 판단이 들어간 거 같고요. 다만 그동안 북한은 지도자를 신격화 했었는데, 이 부분에 대한 변화가 있는 거 같아 관심을 가져야 할 듯 합니다.
삼성과 SK가 2분기 글로벌 D램 점유율 73.6% 차지
글로벌 반도체 업계 시장조사업체인 D램익스체인지는 올해 3분기 이후 글로벌 D램 시장의 수익성이 떨어질 것으로 전망하네요. 그 이유로 2분기까지 많은 수량을 주문해 충분한 재고를 확보해 둔 D램 수요 업체들이 더 이상 수요를 늘리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코로나에 대비해 재고를 확보해둔 거겠죠.. 아무튼 삼전과 하이닉스한테 좋은 소식은 아닌 듯 합니다.
두손파파의 다음주 투자전략은? ▼클릭▼
원스웨이. 승리한 투자자의 길
You can view and join @wonswayinc right away.
t.me
해당 내용은 작성자의 주관적인 판단과 계산에 의해 작성되었습니다. 종목 추천의 목적이 아닌 개인적으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므로, 해당 내용은 구독자의 투자 결과에 대한 책임도 없습니다. 사실 여부 또는 내용의 정확성에 대해서는 구독자 스스로 확인하시기 바라며, 오류가 있는 내용은 댓글로 달아주시면 확인 후에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투자자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손파파의 투자자레터.2020.08.25.화 (0) | 2020.08.25 |
---|---|
두손파파의 투자자 레터.2020.08.24.월 (0) | 2020.08.22 |
두손파파의 투자자 레터.2020.08.20.목 (0) | 2020.08.20 |
두손파파의 투자자 레터(글로벌 증시 마감) (0) | 2020.08.19 |
두손파파의 투자자 레터.2020.08.18.화 (0) | 2020.08.18 |